연구보고서

제목 [재판제도][해외사법]미국 연방파산관리인(U.S. Bankruptcy Administrator) 제도 연구
등록일 2018.07.04
첨부파일 김현범·오세용·최유나, 미국 연방파산관리인(U.S. Bankruptcy Administrator) 제도 연구, 사법정책연구원(2018).pdf 김현범·오세용·최유나, 미국 연방파산관리인(U.S. Bankruptcy Administrator) 제도 연구, 사법정책연구원(2018).pdf 김현범·오세용·최유나, 미국 연방파산관리인(U.S. Bankruptcy Administrator) 제도 연구, 사법정책연구원(2018)(요약보고서).pdf 김현범·오세용·최유나, 미국 연방파산관리인(U.S. Bankruptcy Administrator) 제도 연구, 사법정책연구원(2018)(요약보고서).pdf

- 분류 : [재판제도] 파산·회생재판,  [해외사법] 영미법계

미국 연방파산관리인(U.S. Bankruptcy Administrator) 제도 연구』 보고서
 
현대 경제사회에서 도산하는 기업과 개인의 발생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도산제도의 운영은 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는 2006년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을 시행한 이후 10여 년 동안 도산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고, 2017. 3. 1.에는 도산전문법원인 서울회생법원을 설립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와 같은 도산제도의 발전과 함께 도산절차관계인에 대한 감독을 포함한 도산관리감독 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그중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의 연방관리관 제도와 같이 행정부가 주관하는 도산관리감독 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도산관리감독 제도로는 법무부가 주관하는 연방관리관 제도뿐만 아니라 법원이 주관하는 연방파산관리인 제도도 있습니다.
 
미국의 연방파산관리인 제도는 당초 일부 지역에서 연방관리관 제도를 시행하기 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할 의도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연방관리관 제도가 중앙집권적 행정조직 특유의 경직성으로 채무자들에게 행정업무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 온 것과 달리, 연방파산관리인 제도는 파산법원과의 협조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관리감독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인정받아 현재는 영구적인 제도로 정착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산관리감독 기구로 법원이 주관하는 관리위원회와 회생⋅파산위원회가 설치되어 이미 많은 경험을 축적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조직과 업무 노하우를 사장시키고 막대한 예산을 들여 미국 연방관리관 제도와 같은 행정부 내의 새로운 도산관리감독 기구를 설치하기보다는, 연방파산관리인 제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행 제도를 기반으로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연구보고서는 미국의 도산관리감독 제도 중 우리나라의 기존 제도에 보다 가까운 연방파산관리인 제도를 소개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도산관리감독 제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였습니다.
이 연구보고서를 계기로 향후 도산관리감독 기구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에 관하여 더욱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법정책연구원에서 발행하는 모든 연구보고서는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으므로 파일 다운로드를 통해 열람이 가능합니다. 다만 특별히 연구보고서 책자가 필요한 사유가 있으신 분께는 홈페이지 「연구보고서 배송 문의」에 게시된 ‘연구보고서 배송신청서(개인정보제공 동의서 포함)’를 작성하신 후 연구원 공식이메일(jpriga100@scourt.go.kr)로 보내주시면 내부 재고량 등을 검토하여 배송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배송비는 신청자 부담(착불)입니다.


 
 


bookmark 트위터 바로가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구글+ 바로가기 카카오스토리바로가기 밴드 바로가기 url 바로가기
이전 글 이전글 [사법제도][해외사법]시니어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다음 글다음글 [법교육·법조인 양성]교사용 법교육 강의안 개발에 관한 연구